The Sims Worlds


 


Key words: Virtual world, Sims, Identity, Culture, Society.

Artist statement:  
The idea behind our initiative is that a sense of style can represent a person’s culture and as well as their identity. Culture can be identified depending on a generation, gender, or personal experience. Using Sims within the metaverse, we wanted to experience our concept in a different way to display each of our day-to-day influences. This lets us experience the virtual world directly as we are reducing the physical world to a smaller size. Each participant will showcase a perspective and unique style of one’s culture and identit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we have been influenced by a culture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out the GRWM (Get Ready with Me), the Sims characters demonstrate fashion styles that reflect the participants’ “Fashion Obsession”. In this case, we have outfits, make-up and nails which will help demonstrate how individuals’ interests can affect how their culture and society is built surrounding it. The characters who have completed the GRWM congregate can be seen interacting within one another as a way of showing how identities will be embraced and as well as respected in society. This artwork allows you to experience a society that values all culture work as a cohesive unit. In conclusion, each identity will showcase its own style and differences within a community.

아티스트 성명:  
우리 이니셔티브의 아이디어는 스타일 감각이 한 사람의 문화와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문화는 세대, 성별 또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내에서 심즈를 활용하여 우리는 일상적인 영향을 각각 다르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개념을 경험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통해 물리적 세계를 더 작은 크기로 축소하면서 가상 세계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각 참가자는 자신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관점과 독특한 스타일을 선보일 것입니다. 즉, 개인의 경험에 기반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즈 캐릭터들은 GRWM(Get Ready With Me)에서 참가자들의 '패션 집착'을 반영한 패션 스타일을 선보입니다. 이 경우 의상, 메이크업, 네일 등을 통해 개인의 관심사가 자신의 문화와 사회가 주변에 어떻게 형성되는지 보여줄 수 있습니다. GRWM 회중을 완료한 캐릭터들은 사회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존중받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모든 문화가 응집력 있는 단위로 작동하는 사회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각 정체성은 커뮤니티 내에서 자신만의 스타일과 차이점을 보여줄 것입니다.

Understand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fashion will b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By strengthening core research methodologies,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and expanding our grasp of visual semiotics, we seek to discover more about how the clothes we wear tell tales about who we are or wish to be. In the United Kingdom, our four-person team, each from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created their own cultures through haircut, styling, and makeup. These effects, while profoundly personal, are deeply ingrained in our cultural identities. Nonetheless, in the same place, our different styles collided, mixed, and evolved. What resulted was more than just a collection of differences; it was the birth of a new, shared culture through convergence.


정체성과 패션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초점이 될 것입니다. 핵심 연구 방법론을 강화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각적 기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우리가 입는 옷이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 또는 되고 싶은 사람인지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하는지 더 많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영국에서는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4인 팀이 이발, 스타일링, 메이크업을 통해 자신만의 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지극히 개인적이지만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장소에서 서로 다른 스타일이 충돌하고 혼합되며 진화했습니다. 그 결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공유 문화가 탄생했습니다.



Through this research I explored K-pop culture: its global impact, fan practices, and the way it connects people beyond borders.

The study investigates how fans' identity and dress choices are influenced by K-pop styling. K-pop, which has its roots in South Korea,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nd influenced fashion and cosmetics trends in addition to music.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K-pop fandom as a subculture is seen in the admiration and imitation of their idols' hairstyles, cosmetics, and attire. Because of this vibrant fandom culture, luxury businesses are drawn to work with K-pop musicians as brand ambassadors, underscoring the genre's wider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and lifestyle.


이 연구를 통해 K-Pop 문화를 탐험하고, 팬 관행, 팬 관행, 팬 관행은 국경 너머로 연결된다.

이 연구는 팬들의 정체성과 드레스 선택이 케이팝 스타일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합니다. 한국에 뿌리를 둔 케이팝은 음악 외에도 전 세계로 퍼져 패션과 화장품 트렌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브컬처로서 케이팝 팬덤의 문화적 중요성은 아이돌의 헤어스타일, 화장품, 의상에 대한 감탄과 모방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기찬 팬덤 문화로 인해 명품 기업들은 케이팝 뮤지션과 브랜드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소비자 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졌음을 강조합니다.